ISU GREEN BIO

ISU GREEN BIO

홍보센터

수직농장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 어떤 것이 있을까? (2편)

  • 2025년 06월 18일
  • 이수화학 그린바이오 부문
  • 39

최근 스마트팜에서는 단순한 유러피안 채소 외에도, 고부가가치 작물 중심으로 재배 품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많은 스마트팜 업계에서 허브, 식용꽃, 마이크로그린(새싹채소), 딸기, 와사비 등 고수익 작물을 수직농장 기반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딸기는 수요가 높아 더욱 품질 높은 재배를 위해 상주 R&D실에서도 재배 테스트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고부가 작물중 하나인 저칼륨상추에 대한 연구도 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저칼륨 상추 재배법을 확보하고 재배 매뉴얼화 하고있습니다.

이처럼 꾸준히 고부가작물을 생산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미국의 에어로팜이 영양 밀도가 높은 마이크로그린(케일, 루꼴라 등)을 집중 재배하여

고급 레스토랑 및 헬스푸드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팜은 점차 기능성, 보존성, 시장성 높은 작물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을 시작하려는 분이라면 샐러드 채소, 허브류는 기본이고, 딸기·식용꽃·기능성 채소(저칼륨 상추 등)를 함께 고려하면 수익성과 차별화를 동시에 노릴 수 있습니다.


* 스마트팜 구축 상담: greenbio_sales@isu.co.kr


#스마트팜 #수직농장작물 #샐러드채소 #허브재배 #딸기스마트팜 #식용꽃 #마이크로그린 #고부가가치작물